간편 상담

궁금하신 사항을 아래 문의 내용에 입력해주시면
보다 빠르게 전화로 상담을 도와드립니다

이름
연락처
문의내용

연세대출신 의료진의
분야별 협진 진료
logo
032.432.2000
인천터미널역 2번 출구
롯데백화점 건너편

보도 자료

인천 연세고운미소치과
보도 자료를 확인해보세요

성장기 교정치료, 타이밍 놓치지 말아야 (2025년 1월 7일 기사)

작성일 | 2025.08.11 작성자 | 관리자

성장기 교정치료, 타이밍 놓치지 말아야

성장기 어린이의 치아교정은 단순하게 고른 치아를 만드는 등의 심미적인 목적 외에 구강 건강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치료 과정이다. 특히 치아 배열과 턱 성장의 균형을 맞추는 치아교정은 어린 시기에 시작할수록 효과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를 둔 부모들의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유년기에는 턱뼈와 치아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으며, 그만큼 치아가 움직이는 속도도 빠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의 교정 치료는 성인에 비해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치과 전문의들 또한 어린 시기에 적절한 교정을 통해 치열 이상과 부정교합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반면 부정교합을 개선시키지 않고 방치하면 교합 상태가 맞지 않아 음식 섭취가 어려워지고 발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얼굴 비대칭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교정 여부를 알아보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 시기에는 유치가 영구치로 교체되기 때문에, 치열의 문제를 확인하고 교정을 시작함으로써 턱의 성장 방향 및 치아가 자라는 위치 및 각도 등을 자연스럽게 바로잡아줄 수 있다.
치아교정은 보통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초기에는 교정 장치를 이용해 치아 배열을 개선하고, 이후 턱의 균형을 맞추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성장기 교정은 성장이 끝난 이후의 성인기에 진행하는 교정에 비해 비용적, 시간적으로 효율적이다. 

인천 연세고운미소치과 김경석 대표원장(치과교정과 전문의)는 “성장기 치아교정은 심미적 개선은 물론, 턱관절 질환의 예방과 올바른 저작기능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 부모님들께서 아이의 치아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서둘러 치과를 방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아교정 장치도 과거에 비해 다양해졌다. 전통적인 브라켓 장치 외에, 최근에는 투명 교정장치와 같은 편리하고 심미적인 장치들이 도입되면서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치료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치료 과정 중에 느껴질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구강 내 청결 유지가 용이한 장치들로 치료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치아교정의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은 올바른 치아 관리 습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교정 과정을 통해 어린이들은 깨끗한 치아가 왜 중요한지를 깨닫고, 이를 꾸준히 유지하려는 습관을 갖게 된다. 물론 이렇게 만들어진 습관은 성인기가 되어도 지속된다.
한편, 교정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는 반드시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정확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개인마다 성장 속도와 턱뼈의 발달 상태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개별화된 맞춤형 치료 계획이 요구된다.
김경석 원장은 “부모와 아이의 협력이 중요한 교정 치료 과정은 부모가 아이의 불편함을 이해하고 응원하며 함께 참여할 때 더욱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교정 치료에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지만, 그 끝에는 건강하고 아름다운 미소가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성장기 치아교정은 아이에게 평생의 구강 건강을 선물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치아교정은 단순한 치료가 아니라 미래를 위한 장기적인 투자다. 성장기 어린이는 치아교정을 통해 성인 이후에 더 건강하고 자신감 있는 미소를 누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창호 기자 (ssangdae98@mdtoday.co.kr)

 

출처 :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6145698871

목록

이전글 투명교정, 아이들에게 기능적 심미적 이점이 있어 (2025년 4월 21일 기사) 2025.08.08
다음글 성인 치아교정, 장치 노출이 부담스럽다면? (2025년 6월 8일 기사) 2025.08.19